재테크

데일리 글로벌 마켓 브리핑 (4월 1일) 주요 내용

오픈에어워커이기도 2025. 4. 1. 20:54
728x90
반응형

 

  1. Key Takeaways 가. 미국 주요 지수 혼조세: 다우지수 1.0% 상승, 나스닥 0.1% 하락 나. 상호관세 발표 영향으로 기술주 매도세 다. 테슬라 주가 하락, 공매도 증가
  2. Summary 가.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함.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0% 상승하며 42,001.76을 기록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55% 오른 5,611.85에 마감함. 반면 나스닥 종합지수는 0.14% 하락하며 17,299.29에 거래를 마쳤음. 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기술주에 대한 매도세가 강화되며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등 주요 기술주 주가가 하락한 가운데, 애플 주가는 소폭 상승함. 미국 주요 경제지표는 혼조를 보였는데, 시카고 PMI는 전월 대비 상승하여 시장 예상보다 양호한 결과를 기록했으나, 텍사스 지역의 제조업 지표는 급격한 악화를 보임. 이러한 경제 지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시장의 불확실성을 가중시켰으며, 투자자들은 부가적인 관세 부과 및 글로벌 경제 둔화 가능성에 주시하고 있음. 다.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는 공매도 증가로 인해 주가가 압력을 받았으며, 올해 들어 공매도 투자자들이 큰 수익을 올렸음. 미국 주요 지수는 전반적으로 혼조세로 마감했지만, 위험 회피 심리가 강화됨에 따라 향후 시장 전망은 불확실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음. (다우 +1.00%, 나스닥 -0.14%, S&P500 +0.55%, 러셀2000 -0.56%)
  3. 특징 종목 가. 아마존(-1.3%)은 중국 AI 스타트업 DeepSeek의 부상으로 인한 경쟁 심화와 수요 우려로 인해 주가가 하락함. 최근 AI 에이전트 출시에도 불구하고 관세 관련 불확실성이 시장의 불안을 키움. 나. 애플(+1.9%)은 아이폰 16e를 비즈니스 시장에 맞추어 출시하며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이끌어내어 주가가 상승함. 다. 디스커버 파이낸셜 서비스 (+7.5%)는 임시 CEO인 J. Michael Shepherd의 계약 연장 소식과 Capital One 인수 관련 긍정적 전망으로 주가가 크게 올랐음. 라. 엔비디아 (-1.2%)는 Goldman Sachs의 부정적 보고서 및 AMD의 공격적 행보로 인해 하락했으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줌. 마. 테슬라(-1.7%)는 Elon Musk의 정치적 논란과 차량 인도량 하락 전망으로 인해 약세를 보였음. 바. 그레일(-5.2%)은 최근 급등 이후 조정 장세에 접어들었으나 Quest Diagnostics와의 파트너십으로 장기적 성장 기회를 모색 중임. 사. 모더나(-8.9%)는 FDA 고위 인사의 사임 소식으로 바이오텍 투자 심리가 악화되면서 크게 하락함. 아. 월마트(+3.1%)는 멕시코 내 새로운 매장과 물류 센터 확장을 위한 6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로 주가가 상승함. 이는 월마트가 멕시코 시장에서 더 강력한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진 결과임. 자. TJX 컴퍼니(+3.0%)는 보통주 배당금을 13% 인상한다고 발표하며 주가가 상승한 바, 배당금 인상은 투자자들에게 긍정적 신호로 작용했음. 차. 비자(+2.2%)는 최근 코어페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합하며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얻었음. 이러한 협력은 비자의 기술 서비스 확장과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줌. 카. 미스터 쿠퍼 (+14%)는 로켓 컴퍼니즈의 인수 발표로 주가가 급등함. 시장은 이번 인수를 통해 모기지 산업에 큰 변화가 올 것이라는 기대감을 반영하면서 주식이 역사상 최고가를 기록함. 타. 반면, 로켓 컴퍼니즈 (-7.4%)도 미스터 쿠퍼 그룹 인수 발표 후 과도한 가치 평가에 대한 우려로 주가가 약세를 보임. 파. 코어위브 (-7.3%)는 IPO 데뷔 후 주가가 예상을 하회하며 실망스러운 출발을 보였음. 투자자들은 높은 부채 수준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며 주가에 압박을 가했음.
  4. 채권, 외환 및 상품 동향 (6시 10분, KST 기준) 가. 미 국채 10년물의 수익률은 4.21로 하락, 안전자산 선호 및 무역 긴장감의 증가가 요인임. 나. 달러인덱스(DXY)는 104.21로 소폭 상승하며 -3.94% 하락한 분기 실적을 기록함. 다. 유로/달러 환율은 1.08로 하루 동안 0.14% 하락, 미-유럽 간 무역 갈등이 영향을 미쳤음. 라. WTI 원유가격은 하루 동안 2.86% 상승한 71.35달러를 기록하며, 월간 4.35% 상승세를 보임. 마. 금 가격은 1.29% 상승한 3124.10달러로 안전자산으로서의 가치가 두드러짐. 바. 브렌트유는 74.68달러로 올랐으며, 금속 및 농산물 가격은 대부분 감소세를 보였음. 특히, 은과 니켈은 각각 0.04% 및 2.99% 하락함. 사. 무역 긴장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주요 경제지표 발표를 앞두고 시장 변동성은 계속될 것으로 보임.

728x90
반응형